진료예약 진료안내 건강정보 고객서비스 병원소식 병원안내
 
 
 
QUICK MENU
- 첫 방문 간편예약
- 간편 상담신청
- 증상·질병으로 찾기
- 챗봇 간편상담·빠른예약
온라인 예약 예약 확인·취소
진료안내
수면 클리닉
Medical Service Department Clinic
온라인 예약
수면 질환의 종류
수면 관련 호흡 장애

일반적인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이 대부분이나 뇌졸중이나 심부전이 있는 경우 중추성 수면 무호흡증도 있습니다.
다학적 접근을 통해 수술적 치료와 양압기, 구강내 장치 같은 비수술적 치료를 할 수 있습니다.

과수면

주간 졸림증이 심한 경우 기면병, 특발성 수면과다증, 수면무호흡증을 감별해야 하며 그 중 기면병은 청소년기에 학습 장애를 유발합니다. 이럴 경우에는 단순한 수면 다원 검사 외에 수면잠복기 반복 검사(MSLT)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일주기 리듬 수면장애

통상적인 수면 시간(수면 위상)이 늦게 자고 늦게 일어나거나, 반대로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는 경우가 있으며, 청소년기에는 기면병과 혼돈되기도 합니다.

사건 수면

꿈을 꾸는 수면을 렘(REM, 빠른 안구 운동이라는 뜻)수면이라고 하는데, 비렘수면에 보행증(몽유병), 야간섭취증이 있습니다. 렘수면일 때에는 과격한 꿈을 꾸면서 소리를 지르거나 난폭한 행동을 하는 질환입니다. 약물 조절이 필요하고 추후 치매, 파킨슨병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수면 관련 운동 장애

하지 불안 증후군은 자기 전에 자기 전에 다리 불편감을 호소하는 질환입니다. 주기적 사지 운동증은 자면서 반복적으로 다리를 움직이며 자고 일어나면 다리 통증과 같이 수면 파트너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질환입니다. 역시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으며 약물 조절로 가능합니다.

유성선병원 수면다원검사센터

의료 보험 / 실비 보험 적용 => (본임 부담률 20%)
직장인은 주말(금, 토) 이용
수면다원검사 정도관리위원회에서 인증한 자격기준을 갖춘 의사와 기사가 직접 진료
이비인후과, 구강외과, 신경과 협진 및 치료

코골이 / 수면무호흡증?

오래 방치할 경우 고혈압, 심장질환, 뇌졸중, 노인성치매 등의 합병증을 유발
기억력, 판단력, 집중력의 감소

1) 수면무호흡증

폐쇄된 상기도로 인해 호흡이 일시적으로 멈추는 것을 말함
수면 중 숨을 쉬지 않는 증상이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경우

2) 코골이

잠을 자는 동안 인두부가 폐쇄되어 연구개와 목젖 등의 구조물이 진동하면서 잡음을 일으키는 것을 말함

당신의 수면점수는?
1. 코골이 소리에 배우자가 흔들어 깨운 적이 있다. 2. 코골이로 인해 배우자와 각방을 사용한다. 3. 코골이 소리에 놀라서 스스로 깬 적이 있다. 4. 자다가 자주 깨거나 꿈의 내용이 사납다. 5. 깨지 않고 잘 자는데 자고나도 피로가 풀리지 않는다. 6. 자다가 가슴이 아파서 깬 적이 있다. 7. 피곤해서 부부관계를 원치 않거나 발기 상태가 유지가 안 된다. 8. 무기력하고 피곤한 편이다. 9. 아침에 늘 목이 마르다. 10. 아침에 두통이 있는 편이다. 11. 주간에 일의 집중도가 떨어지고 기억력이 감퇴했다. 12. 피곤해서 낮잠을 꼭 자는 편이다. 13. 운전 중 졸음운전을 하는 경우가 있다. 14. 최근 5년 이내 체중이 10% 이상 늘었다.
1점 이상 : 코골이, 수면무호흡증 등 수면장애 가능성 있음 4점 이상 : 코골이, 수면무호흡증에 의한 심혈관계 합병증 발생 위험성이 있음 8점 이상 : 코골이, 수면무호흡증에 의한 심혈관계 합병증 발생 위험성이 높음 12점 이상 : 조기에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한 중증 수면무호흡증일 가능성이 높음
수면다원검사?

수면 중 발생하는 질환을 진단하는 검사
수면 중 뇌파검사(EEG), 안전도 검사(EOG), 근전도 검사(EMG), 심전도(ECG) 전체를 보기 위한 비디오 촬영 등을 시행
인체에 방사선 등의 노출이 없는 안전한 검사로 이루어져 있음
하룻밤 동안 검사하기 때문에 수면 중 발생하는 문제에 대해 포괄적으로 접근 가능
수면 구조, 수면 호흡, 수면 움직임을 모두 기록합니다.

1) 수면 구조

뇌파, 눈 움직임, 턱 근전도를 통해 전통적인 수면 단계 분석
꿈 수면과 수면 1단계, 2단계, 깊은 수면을 구분

2) 수면 호흡

호흡기류센서(온도센서, 압력센서), 마이크로폰, 흉부와 복부 움직임 벨트 혈중 산소농도 측정 센서를 통해 수면 중 호흡의 원활한 정도 평가 가능

3) 수면 움직임

양쪽 다리 근전도, 양팔 근전도, 수면 자세 센서, 디지털 비디오를 통해서 수면 중 움직임을 관찰 및 기록

4) 양압 조절

수면 중 호흡 장애 발견시, 비강 마스크를 쓰고, 호흡 상태에 따른 적정 양압 마스크에 제공
비정상적인 수면 구조, 호흡의 정상화와, 그로 인한 불규칙한 움직임 해소 깊은 수면 유도 진행

검사 전 주의 사항

검사 전 날은 평소와 비슷하거나 적게 자야함
검사 당일 낮잠은 삼가야함
식사와 자가약은 평소와 같이 복용, 취침 전 복용약은 지참
검사 당일 스프레이나 가발 등의 사용 자제
매니큐어 및 젤네일은 미리 제거(손가락 센서 사용)
세면을 원할 시 수건 및 개인 세면용품 준비(검사 후 세면을 원하지 않으면 모자 지참)
검사 당일 수면에 방해가 되는 음주, 커피 삼가
검사 당일 수면에 방해가 될 수 있으니 물 섭취 삼가

수면다원검사 과정
1. 설문지 작성

검사 전 수면질환과 주관졸음, 우울증에 대한 자가 진단 척도를 조사

2. 센서 부착

뇌파검사(EEG), 안전도 검사(EOG), 근전도 검사(EMG), 심전도(ECG)를 측정하는 센서 부착

3. 수면

진동과 소음이 차단된 검사실에서 취침, 카메라가 설치되어 있어 수면장면을 녹화

4. 센서 제거 및 설문지 작성
5. 경과 판독

검사에서 얻은 기록을 분석하여 환자의 질병을 판정하고 치료방법을 선택

협진 프로세스

검사 결과에 따라 신경과, 이비인후과, 구강외과, 정신건강의학과와 협진하여 정확한 원인 분석과 치료를 합니다.

STEP 1
수면센터 진료
STEP 2
수면다원검사 시행
STEP 3
검사 결과 판독 및 진단
STEP 4
이비인후과 정신건강의학과
- 양압기
- 수술치료
- 불면증 치료
- 체질개선
구강외과 신경과
- 구강 내 장치
- 양악수술
- 악안면 수술
- 중추신경계 평가
- 양압기 치료
- 약물치료
치료
1) 비수술적 치료

체중 조절, 약물치료
구강 내 장치(MAD) : 취침 시 아래턱을 당겨 좁아진 인두 기도를 넓혀주는 장치
후방으로 처진 혀를 당겨주는 장치

양압기 : 공기를 불어넣어 수면 시 좁아진 기도를 개방시키는 장치 / 의료보험 적용(2018년 7월)

2) 수술적 치료

해부학적 원인이 분명하거나, 비수술적 방법의 효과가 없을 때 시행
주로 폐쇄를 일으키는 비강, 인두부, 설근부를 넓혀주는 수술
비강수술
비중격만곡증 교정
비후성비염 수술, 비용종 수술
인두부 수술
혀기저부 축소술, 이설근 전진술, 양악수술
연구개 수술, 비염수술, 연구개 피판술

의료진 소개
신경과 (유성) 조성래 센터장 [진료분야] 뇌졸중 및 수면질환, 뇌전증, 말초신경질환
의료진 상세보기
이비인후과 (유성) 권기륜 [진료분야] 비염, 축농증, 기능 코성형, 수면무호흡, 이명, 난청
의료진 상세보기
이비인후과 (유성) 이건호 [진료분야] 비염, 축농증, 기능 코성형 수면무호흡, 난청
의료진 상세보기



유성선병원 전체 진료과